티스토리 뷰

반응형
반응형

2025년 현재, 청년들에게 가장 절실한 건 단연 ‘경제적 안정’입니다.
취업 준비, 창업, 주거 독립, 자산 형성까지… 막막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지원금 정책을 마련해 왔습니다. 

알아야 혜택을 받을 수 있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전국 공통 정책과 함께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전남 등 주요 지역별 청년지원금까지 가장 최신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전국 공통 청년지원금 (정부 주도)

항목 주요 내용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납입, 정부 지원 포함 최대 5,000만 원 목돈 마련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근로 청년(소득 기준 충족 시), 3년 만기 최대 1,440만 원 지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 취업 청년 1인당 연 960만 원 기업 지원
청년창업지원 패키지 창업 교육, 멘토링, 최대 1억 원 창업 자금 지원

신청 방법: 정부24, 워크넷,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등에서 상세 확인 가능

 

지역별 청년 지원금

📍 서울특별시 – 청년월세지원 + 청년수당

  • 청년월세지원
    → 19~39세 1인 무주택 청년 대상, 월 최대 20만 원 × 12개월 = 총 240만 원 지원
    → 신청 기간: 2025년 6월 11일 ~ 6월 24일 (온라인 접수)
    → 소득, 거주 요건, 임대차 계약 조건 필수 확인!
  • 청년수당
    → 만 19~34세 미취업 청년(군필 포함 최대 만 37세), 중위소득 150% 이하
    월 50만 원 × 6개월 = 총 300만 원 활동지원금
    → 신청 기간: 2025년 6월 10일 ~ 6월 12일 (‘청년몽땅정보통’)

📍 경기도 – 청년기본소득

  • 청년기본소득
    → 만 24세, 경기도 3년 연속 or 총 10년 이상 거주 청년
    분기별 25만 원, 연 최대 100만 원 지급 (지역화폐)
    → 신청 기간: 분기별 운영 (예: 2분기 접수 5월, 지급 6월)

단순 생계지원이 아닌, 청년의 기본 권리를 강조한 정책으로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음

 

📍 부산광역시 – 디딤돌카드 + 취업장려금

  • 청년 디딤돌카드 Plus
    → 18~39세 미취업 청년 대상, 월 30만 원 포인트 × 6개월 = 총 180만 원
    → 교통비, 면접비, 식비 등 청년활동비 지원
    → 2025년 상반기 마감 (추후 하반기 모집 여부 공지 예정)
  • 취업장려금
    → 고용보험 가입된 청년 대상 최대 150만 원 일시 지급 (장기근속 조건)
    → 신청 기간: 2025년 6월 16일 ~ 6월 20일, 온라인 접

📍 대구광역시 – 희망적금 + 응원카드 + 면접비 지원

  • 청년희망적금(2026년 지원완료 예정)
    → 19~39세 근로청년 대상, 월 10만 원 × 12개월 저축 시
    → 대구시가 동일 금액(총 120만 원) 매칭 → 총 240만 원 자산 형성
    → 고용보험 가입, 소득 조건 필수 
  • 청년응원카드(사회진입지원)
    →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대상, 1:1 진로상담 후 30만 원 포인트 지급
    해당 포인트는 교통비, 식비 등 청년활동에 필요한 실비로 사용 가능
    ※ 중위소득 150% 이하 조건이며, 연간 약 230명 모집
  • 청년 면접비 지원
    → 면접 1회당 일정 금액 지원, 선착순 접수
    → 대구청년센터 통해 진행 중

부가적으로 청년도전지원사업(젊핑) 등 교육+수당 연계형 프로그램도 운영 중

 

📍 전라남도 – 문화복지카드

  • 청년문화복지카드
    → 만 19~39세 전남 거주 청년 대상
    연 최대 20만~25만 원 지급, 문화활동, 강의, 헬스장, 공연 등 사용 가능
    → 신청 마감: 2025년 6월 30일, 온라인 + 주민센터 병행 접수

 

지역 지원금명 대상 지원 내용 신청 시기
서울 청년월세지원 19~39세 무주택 청년 월 20만 ×12개월 (240만) 6.11~6.24
서울 청년수당 19~34세 미취업 월 50만 ×6개월 (300만) 6.10~6.12
경기 청년기본소득 만 24세 분기 25만, 연 100만 분기별
부산 디딤돌카드 18~39세 미취업 월 30만 ×6개월 (180만) 3월 (종료)
부산 취업장려금 근속 청년 일시금 150만 원 6.16~6.20
대구 희망적금 19~39세 근로청년 총 240만 자산 형성 4.7~4.18
대구 응원카드 19~34세 미취업 30만 포인트 연중
대구 면접비 취업준비청년 건별 지급 (선착순) 수시
전남 문화복지카드 19~39세 연 20~25만 ~6.30

 

 

놓치지 않으려면?

  • 신청 마감일 체크 : 대부분 선착순 또는 기한 제한
  • 중복 수혜 가능 여부 확인 : 일부 사업은 중복 불가
  • 청년포털 구독/팔로우 : 서울 ‘청년몽땅정보통’, 대구 ‘청년드림’, 전남 ‘전남도청 청년정책’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