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인상 확정 – 직장인 월평균 2235원 더 부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의결에 따라 2026년 건강보험료율이 7.19%로 인상됩니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변화, 월급별 계산 예시, 확인 포인트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 보험료율은 2025년 7.09%에서 2026년 7.19%로 조정
  • 전년 대비 인상률 1.48%, 직장가입자 월평균 2235원↑, 지역가입자 월평균 1280원
  • 직장가입자 본인부담은 요율의 절반(회사와 절반씩 부담)으로 산정

누가 얼마나 더 내나

평균 기준으로 보면 직장가입자는 월 15만8464원에서 16만699원으로, 지역가입자는 월 8만8962원에서 9만242원으로 오른다는 의미입니다.

구분 2025년 월평균 2026년 월평균 증감
직장가입자(본인부담) 158,464원 160,699원 +2,235원
지역가입자(월평균) 88,962원 90,242원 +1,280원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왜 올랐나

정부는 최근 2년 동결로 약화된 수입 기반과 고령화·필수의료 강화 등에 따른 지출 확대 요인을 고려해 최소 폭으로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동시에 재정 누수 요인 점검과 지출 효율화를 병행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얼마나 오른 건가

  • 요율: 7.09% → 7.19%0.1%p 상향
  • 전년 대비 인상률: 1.48%
  • 적용 시점: 2026년 보험료 산정분부터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본인이 절반씩 보험료를 부담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본인부담률이 보험료율의 절반인 3.595%(2025년 3.545% → 2026년 3.595%)로 바뀝니다.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월급별 직장인 건보료 변화 예시

보수월액(비과세 제외 월급)을 기준으로, 2025년(요율 7.09%) 대비 2026년(요율 7.19%) 직장가입자 본인부담을 비교한 표입니다. 실제 고지서는 공단 산식과 원단위·10원단위 절사 등이 반영되어 소폭 다를 수 있습니다.

보수월액(월급 가정) 2025년 본인부담 2026년 본인부담 증감
300만원 106,350원 107,850원 +1,500원
400만원 141,800원 143,800원 +2,000원
500만원 177,250원 179,750원 +2,500원
700만원 248,150원 251,650원 +3,500원

참고로 보수월액 309만원(최근 평균임금 근사치)의 경우, 본인부담은 2025년 약 109,540원 → 2026년 약 111,085원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퍼센트로 인상

지역가입자는 어떻게 바뀌나

지역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2025년 8만8962원에서 2026년 9만242원으로 약 1280원 오릅니다. 실제 변화 폭은 세대 단위 점수·재산·자동차·소득 반영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내 보험료 확인·관리 체크리스트

  • 보수월액 확인: 비과세 항목 제외 금액이 맞는지 근로소득명세서로 점검
  • 피부양자 요건: 소득·취득재산 변동 시 피부양자 자격 유지 여부 확인
  • 소득 변동: 상여·수당 변동이 큰 업종은 정산 시기에 유의
  •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와 별도 부과되므로 총 보험료 납부액을 함께 확인
  • 모바일 앱: 국민건강보험공단 앱·홈페이지에서 납부내역과 부과내역 수시 확인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인상 확정 – 직장인 월 2235원·지역 1280원 더 낸다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인상 확정 – 직장인 월 2235원·지역 1280원 더 낸다

반응형